트위터 대항마 스레드 출시 5일만에 트위터 따라잡을 기세, 스레드와 트위터의 차이점
전승운의 알쓸신잡
article thumbnail
반응형


트위터 대항마로 등장한 새로운 SNS '스레드'의 가입자수가 빠르게 늘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10일(현지시간) 미국 IT 전문매체 테크크런치는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가 내놓은 소셜미디어 스레드 가입자가 1억 명을 넘어섰다고 보도했다.


지난 5일 출시한 지 5일 만이다. 스레드 가입자는 서비스 출시 16시간 만에 3000만 명을 넘어선 데 이어 출시 하루 반 만에 7000만 명을 넘겼다.


게시물 검색 기능이 없고 트위터에 있는 해시태그과 1대 1 메시지(DM) 기능이 없음에도 단기간 가입자 수가 빠르게 증가한 모습이다. 인스타그램과 연동이 가능해 별도의 회원가입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2개월 만에 가입자 1억 명을 넘긴 챗GPT 흥행 속도보다 빠르다. 앞서 틱톡은 9개월, 인스타그램은 2년 반 만에 가입자 1억 명을 달성했다.


이번에 나온 SNS '스레드'가 어떤 서비스인가요?

'SNS 스레드'는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최신형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서비스입니다. 트위터, 페이스북 등 기존의 SNS 서비스들과 차별화된 포맷을 제공함으로써 대중들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스레드의 주요 특징은 글쓰기에 있습니다. 트위터와는 달리 길이 제한이 없어 긴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게시물 검색 기능은 없으며, 1:1 채팅 기능 또한 제공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인스타그램과 연동되어 별도의 회원 가입이 필요 없습니다.

스레드는 일종의 블로그와 같은 개념인데, 더욱 세부적, 긴 글쓰기를 통해 단일 게시글 속에 이야기를 풀어가는 것입니다. 따라서, 긴 이야기를 다루기에 적합하며, 독자가 글을 한 번에 일목요연하게 읽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요즘 SNS 시장에서 '스레드'는 빠르게 성장하는 서비스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이들이 이 서비스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레드와 트위터의 차이점



'SNS 스레드'와 트위터 간 주요한 차이점은 글 작성 지원 길이와 정보와의 공유 등이 있습니다.

트위터의 경우, 최대 280자까지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레드는 길이 제한이 없으므로 긴 글을 쓸 수 있습니다. 또한, 스레드에는 트위터에서 지원하지 않는 이미지, 동영상, 인용 텍스트 등의 다양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차별화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차이점은 정보와의 공유입니다. 트위터에서는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링크를 클릭하면 새 창에서 외부 링크를 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스레드에서는 링크를 통해 내부 게시물을 공유하고, 별도의 창을 열지 않고 스레드 상에서 그 내용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스레드는 콘텐츠의 긴 문장, 이미지, 그리고 다른 기타 등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는 다른 SNS를 대처할 수 있는 매우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SNS 시장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
profile

전승운의 알쓸신잡

@전승운의 알쓸신잡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